728x90

 

 

현재 나와있는 AI 모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단연 챗 지피티일 것이다.

 

 

 

$20 달러짜리 Plus 멤버쉽과 $25 짜리 Team 멤버십이 있는데.

굳이 유로 플랜을 활용하지 않아도 무료 버젼으로웬만한 범위는 커버된다.

 

챗지피티의 가장 주된 특징은 자연어로 AI가 활용가능하다는 것인데.

 

말 그대로 이전 C언어, 파이썬 등 컴퓨터 언어를 활용해서 인풋을 넣는 방식이 아닌.

내가 사용하는 언어 그 자체를 넣어서 사용하여도 같은 아웃풋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.

 

이를 통해 쉽게는 검색 포털 대신 간단한 내용을 리서치하는 것부터 시작해 일상 대화, 통번역,  프로그래밍, 코딩 오류에 대한 해결 등 넓은 분야를 한 번에 해결할 수도 있다.

챗지피티를 활용한 프로그래밍

 

또 유료 멤버십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DallE는 현재 'Generative Ai'의 선두주자 라고 할 수 있는 Midjourney와 비슷한 프로그램으로서 자연어 입력을 통해 그림, 일러스트레이션을 도출해 낼 수 있다.

 

 

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챗지피티는 각 창마다 다른 미션을 줄 수 있다.

 

왼쪽 목록을 살펴보면 대화창을 생성할 수 있는데.

모든 대화창마다 각자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해 활용할 수 있다. 

 

chatgpt에게 여행 플래너, 퍼스널 운동 트레이너, 개인 비서, 카피라이터 등 각 대화창마다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부여해 필요할 때마다 해당 대화창에 들어가서 다른 업무를 동시에 지시, 답변을 받을 수 있다. 예를 들어

 

내 여행 플래너가 되어서 300만 원 버짓에서 갈 수 있는 해변가 주변의 여행지를 추천해 줘.

 

라는 방식으로 대화창에 역할과 지시를 부여할 수 있는데. 해당 대답에 대해 질의 응답을 반복해서 더 좋은 답변으로 좁혀 나갈 수있는 큰 장점이 있다.

 

 

이 대화창 이외의 공간에서 내 chatgpt의 마스터 페르소나를 설정할 수 도 있다.

왼쪽 하단의 챗 지피티 커스터마이즈 키를 누르면 두 개의 창이 뜨는데. 

이곳에서 내 계정의 챗지피티 자체를 설정할 수 있다.

 

 

그렇다면 챗지피티 대화창에서 역할 부여를 하는 것과 챗지피티를 커스터마이징 하는 것은 무엇이 다를까?

 

Customize chat gpt Vs chat gpt 대화창에서 역할 부여

 

이 둘의 키포인트는 얼마나 더 개인에게 맞춤형이 되어있는가이다. 

챗지피티 대화창에서 역할을 부여하고, 이야기 방식으로 지시를 이어나간다면.

원하는 답변을 얻을 수는 있지만.

챗지피티 모델 특성상 트레인 된 기준선과 도덕을 지키며 최대한 중립적인 답안을 내놓는다. 

 

하지만 만약 customize chatgpt에서 출신, 정치적 성향, 본인의 나이와 성별, 이념, 관심사 등을 입력하고. 챗지피티의 답변이 긴 것이 좋은지 짧은 것을 선호하는지, 주관적 일지 중립적 일지, 또 더 나아가 말하는 투는 캐주얼할지 공식적 일지를 세팅하면 중립적인 대답의 방향이 주관적으로, 나에게 맞게 바뀐다는 것이다.

 

다음에는 더 자세한 예시로 들어 가져올 생각이다.

 

 

 

728x90

+ Recent posts